모교소식
김남영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 ‘환경 및 의료 모니터링을 위한 패시브 무선 센싱 시스템’ 개발 성공   - 과학전문지 Nano Micro Letter (IF: 31.6) 게재 -   (좌) Wei Yue 박사과정 연구원 (우) 김남영 교수   모교 전자공학과 김남영 교수(교신)가 이끄는 연구팀은 전자공학과 Wei Yue 박사과정(제1저자)과 함께 “환경 및 의료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을 위한 패시브 무선 센싱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본 연구는 최근 수동 무선 센서 기술의 발전 중 특히 화학 및 바이오 의약품 응용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센싱의 응용 범위를 크게 확장시켰다. 이러한 시스템은 배터리 없이 작동하며 무선 연결이 가능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은 산업 환경을 안전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며, 제한된 내부 신체 공간과 웨어러블 표피 장치에서 고정밀 생리 측정을 지원한다. 다양한 응용 환경에 대한 탐구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아키텍처를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연구 프레임워크의 개발은 여전히 어렵고, 이는 이러한 시스템의 추가 최적화를 저해하므로, 본 논문은 응용 시나리오에 대한 검토로 시작하여 현재 시스템 아키텍처를 평가하고, 목표 센싱 시스템의 주요 구현 맥락에서 각 구성 요소, 특히 수동 센서 모듈, 무선 통신 모델, 판독 코일의 기능에 대해 연구한다. 본 논문은 수동 무선 시스템을 센싱 기술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 궤적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발전된 사용자 친화적인 응용을 위한 기초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경과 바이오 의약품 응용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기...
kwdongmoon 2025.01.17 추천 0 조회 85
[광운 Hot Issue] 광운대, 제2회 매치업 심화과정 경진대회 성황리에 마쳐   광운대, 제2회 매치업 심화과정 경진대회 성료 우리 대학은 지난 2024년 12월 20일(금) 오전 10시부터 80주년 기념관에서 제2회 매치업 심화과정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주관의 산업맞춤 단기직무능력 인증과정인 매치업(Match業)은 대학생, 구직자 등 신산업 분야의 직무능력 향상 희망자를 대상으로 대표기업과 교육기관이 협력하여 수강생의 직무능력을 인증하는 프로그램이다. 모교의 매치업 교육과정은 대표기업과 협력하여 발굴한 핵심 직무 역량을 바탕으로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을 운영하며, 이를 통해 산업 변화에 대응하고 적응할 수 있는 평생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미래를 열어가는 참빛인재’라는 교육 목표 아래 매년 두 차례 매치업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수강생들에게 직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제2회 매치업 심화과정 경진대회는 실무보고서와 포스터 분야로 진행되었으며, 2024학년도 2학기 매치업 심화과정 수험생 및 관계자 약 100명이 참여했다. 천장호 총장은 축사를 통해 “오늘 이 자리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광운대학교, ㈜아이센스, 사단법인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가 협력하여 바이오헬스 분야의 미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집중 이수 학기 동안 발굴한 핵심역량 결과물을 공유하는 이 시간은 ‘미래를 열어가는 참빛인재’가 되기 위한 계기가 될 것임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심사 결과, 포스터 분야(내부)에서는 4개 직무별로 18개 팀이 선정되어 총 250만 원의 상금과 교육혁신원장 명의의 상을 수상했다. 실무보고서 분야(외부)에서는 4개 직무별로 18개 팀이 수상하며, 총 250만 원의 상금과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장 명의의 상을 받았다. 베스트콜라보상에는 경영학부 이석준 교수가 지도한...
kwdongmoon 2025.01.09 추천 0 조회 106
[광운 Hot Issue] 정동훈 교수(미디어), '생성형 AI, 너 때는 말이야' 출간   모교 정동훈 교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를 이끌어갈 Gen-Z 세대를 위한 책, '너 때는 말이야' 시리즈의 완결편 '생성형 AI, 너 때는 말이야'를 출간했다.     2020년에 시작된 '너 때는 말이야' 시리즈의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책인 '생성형 AI, 너 때는 말이야'는 ChatGPT 등장 이후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생성형 AI 시대의 모습을 Gen-Z 세대의 눈높이에서 쉽고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다. 이 책은 ChatGPT의 등장으로 촉발된 생성형 AI 혁명이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특히 교육학, 경제학, 미디어학, 심리학, 철학, 컴퓨터과학 등 분야를 넘나들며 다양한 관점으로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한다. 현재 실제 활용되는 다양한 사례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성형 AI의 현재를 조명하고, 저작권 침해나 개인정보 유출 같은 잠재적 위험성도 균형 있게 다루고 있다. 책 속에서는 복잡한 생성형 AI 기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삽화와 도식을 활용했으며, 특히 QR코드를 통해 유튜브 영상을 함께 시청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저자인 정동훈 교수는 철학, 방송, 커뮤니케이션, 컴퓨터 사이언스를 아우르는 융복합적 학문 배경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의 디지털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100여 편의 연구 논문과 다수의 저서를 통해 디지털 기술의 발전 방향을 제시해 왔으며, 이번 책을 통해 생성형 AI 시대를 이끌어갈 Gen-Z 세대들에게 미래를 위한 구체적인 나침반을 제시하고 있다....
kwdongmoon 2025.01.09 추천 0 조회 102
하태준 교수(전자재료공학과) 연구팀, 고선형성 및 정밀도를 가지는 뉴로모픽 컴퓨팅을 구현하기 위한 컨택 엔지니어링이 적용된 산화물 멤트랜지스터 개발   - 재료 과학 분야에서 최상위 국제 학술지인 Small (IF: 13, JIF ranking: 7%)에 논문 게재 -   (좌측부터) 박상준 박사, 하태준 교수   모교 하태준 교수(전자재료공학과) 연구팀은 성균관대 김영훈 교수 연구팀 및 중앙대 박성규 교수 연구팀과 함께 컨택 엔지니어링이 적용된indium-gallium-zinc oxide (IGZO) 기반 산화물 멤트랜지스터를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높은 선형성 및 정밀도를 가지는 뉴로모픽 컴퓨팅을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WILEY에서 발행하는 재료 과학 분야에서 최상위 국제 학술지인 Small (IF: 13, JIF ranking: 7%)에 “Contact-Engineered Oxide Memtransistors for Homeostasis-Based High-Linearity and Precision Neuromorphic Computing”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참조: https://doi.org/10.1002/smll.202409510) 최근 뉴로모픽 컴퓨팅은 초저전력 소모, 병렬 처리, 환경 적응성 등 많은 장점으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Hebbian 규칙 발견은 신경 발달과 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나, 학습 메커니즘을 완벽하게 모방할 수 없기 때문에 뉴로모픽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하태준 교수(전자재료공학과) 연구팀은 성균관대 김영훈 교수 연구팀 및 중앙대 박성규 교수 연구팀과 함께 컨택 엔지니어링을 적용하여 Hebbian과 homeo-plasticity를 모두 모방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메모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산화물 반도체 멤트랜지스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제작된 IGZO 멤트랜지스터는 104이상의 높은 전류 스위칭 비율과100번의 반복 동안에도 안정적인 동작을 나타냈으며, 우수한 메모리 특성과 함께 항상성을...
kwdongmoon 2025.01.09 추천 0 조회 103
교원창업기업 (주)플라사드 중소벤처기업부 팁스 선정 - 일산화질소 플라즈마 활성수 기술 상용화에 박차 - 모교 전자바이오물리학과 및 플라즈마바이오과학연구소 최은하 교수(사진)의 교원창업기업인 ㈜플라사드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지원프로그램 팁스(TIPS)에 선정되었다. ㈜플라사드는 2022년 8월 교원창업을 시작으로 2023년 1월에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했으며, 같은 해 3월 벤처기업 인증을 획득했다. 특히, 2023년 7월에는 일산화질소 플라즈마 활성수를 활용하여 원예작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기술로 농림축산식품부의 신기술인증(NET)을 획득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이번 팁스(TIPS) 선정으로 ㈜플라사드는 총 6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여 일산화질소 플라즈마 활성수를 활용한 새로운 수경재배 솔루션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일산화질소 플라즈마 활성수는 수경재배 시 문제로 지적되던 미생물 번식과 조류(藻類)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로, 작물 재배 환경을 보다 깨끗하고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기술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식물 내 기능성 물질 생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싹 씨앗 발아부터 채소 성장까지 이어지는 친환경 농법 개발로 농업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플라사드의 최은하 대표는 이번 팁스 선정과 관련해 “일산화질소 플라즈마 활성수는 농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라며 “이번 투자를 통해 수경재배 기술 혁신은 물론, 지속가능한 친환경 농법을 확립하고 농업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플라사드는 앞으로도 일산화질소 플라즈마 활성수 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성장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
kwdongmoon 2025.01.07 추천 0 조회 114
광운대학교, ‘지역-대학 협력 평생학습 포럼’ 개최   모교 참빛인재대학(학장 김성길)은 2025년 새해를 맞이하여 ‘지역-대학 협력 평생학습 포럼’을 2025년 1월 9일(목)광운대학교 80주년 기념관 4층 대강당에서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N차 시대! 세계로의 연결과 확장’이라는 주제로, 지역사회와 대학 간의 협력을 통해 평생학습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한국지역사회교육재단, 미래글로벌공동체재단, 한국평생교육사협회, 한국미래교육학회, 한국성인교육학회 등 다양한 평생교육 관련 기관들이 후원하는 이번 포럼에서는 최운실 제2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의 기조강연에 이어서 ‘AI시대, 미래산업과 직업세계(조수영 광운대 교수)’, ‘지역 협력의 평생교육 사례 공유(조남억 시립성북청소년센터 관장)’, ‘N잡러로의 초대(양진영 ‘펀펀한 재직자’ 네이버 카페 운영자)’ 등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김성길 학장은 “새해 벽두, 급변하는 시대 변화 속에서 지역과 대학이 협력하여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여러 세대가 서로 소통하며 경험을 공유하는 기회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출처 : 광운대학교 포커스 (kw.ac.kr)  
kwdongmoon 2025.01.07 추천 0 조회 99
하태준 교수(전자재료공학과) 연구팀, YSZ 기반 정전용량형 웨어러블 온도 센서 개발   - 화합물 및 합금 기반 재료 과학 분야 최상위 학술지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논문 게재 (IF: 5.8, JCR ranking 상위8.3%) -   (좌) 석사 과정 김채은, (우) 하태준 교수   모교 하태준 교수(전자재료공학과) 연구팀은 최적화된 all-solution process를 적용하여 yttria-stabilized zirconia(YSZ) 기반 정전용량형 웨어러블 온도 센서를 개발하였고, 체온을 이용하여 실시간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센서를 구현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Elsevier에서 발행하는 화합물 및 합금 기반 재료과학 분야에서 최상위 학술지인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IF: 5.8, JCR ranking 상위8.3%)에 ‘Capacitive-type wearable temperature sensors based on yttria-stabilized zirconia films fabricated via microwave-assisted all-solution-process and their application for detection of touch stimuli’ 제목으로 게재되었다.(참조: https://doi.org/10.1016/j.jallcom.2024.178334) 실시간으로 체온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온도 센서는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분야에서 높은 과학적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유전율이 높은 금속 산화물 박막으로 구성된 정전용량형 온도 센서는 간단한 장치의 구성, 높은 열역학적 안정성, 뛰어난 기계적 강성으로 인해 웨어러블 전자 소자에 적용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정전용량형 웨어러블 온도 센서의 감지 성능이 절연층의 결정화도에 따른 준자유 캐리어(Quasi-free carrier, QFC)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절연층으로는 높은 유전상수 값과 우수한 절연 특성을 가지는 금속 산화물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금속 산화물 박막의 결정성을 제어하는...
kwdongmoon 2025.01.07 추천 0 조회 113
이지훈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 저비용 고효율 그린수소 생산 위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Mn 도핑 기법의 NiBP 미세구 전기촉매 개발   - 열수증착/전기화학적 증착법 결합하여 Mn 도핑방식 적용된 새로운 NiBP 미세구 전기촉매 구현 -   - 국제 저명학술지 Elsevier 출판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IF: 8.1)’ 논문 게재 -   모교 이지훈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은 전자공학과 슈미야 연구원(제1저자)과 함께 저비용 고효율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열수증착기법과 전기화학적 증착기법을 결합하여 하이브리드 방식의 Mn 도핑법이 적용된 새로운 ‘Mn-doped NiBP 미세구’ 구조의 전기촉매를 세계 최초로 구현하였다.     Mn/NiBP 미세구는 1M KOH에서 50mA/cm2에서 수소 발생 반응(HER) 및 산소 발생 반응(OER)에 대해 62mV와 250mV의 낮은 과전위를 나타냈다. Mn/NiBP (-) || Mn/NiBP(열수증착/전기화학적 증착법 결합하여 Mn 도핑방식 적용된 새로운 NiBP 미세구 전기촉매 구현)의 2전극 구조는, 1M KOH의 2000mA/cm2에서 3.07 V의 낮은 셀 전압을 보여, 벤치마크 레퍼런스 Pt/C(-) || RuO2(열수증착/전기화학적 증착법 결합하여 Mn 도핑방식 적용된 새로운 NiBP 미세구 전기촉매 구현) 전극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Pt/C (-) || Mn/NiBP (열수증착/전기화학적 증착법 결합하여 Mn 도핑방식 적용된 새로운 NiBP 미세구 전기촉매 구현)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1M KOH의 2000mA/cm2에서 2.82V의 초저 셀전압을 나타내며, 이는 Mn/NiBP 미세구의 전기촉매 견고성과 강력한 부식 방지 저항성을 나타낸다. NiBP 마이크로스피어에 Mn 도핑하면 전하 이동이 가속화되고 전기촉매 활성이 향상되어 산업 응용 분야에 비용 효율적인 전기촉매 후보군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wdongmoon 2025.01.02 추천 0 조회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