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교소식
산학협력단 BRIDGE 3.0 사업 참여기업 사이테크놀로지(주) CES 2025 혁신상 수상   -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서 CCTV카메라로 혁신상을 받은 유일한 기업 -   모교 산학협력단(정영욱 단장)은 지난 2025년 1월 7일(화)부터 10일(금)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BRIDGE 3.0 사업 참여 기업인 사이테크놀로지㈜(정순화 대표)가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싸이테크놀로지(주) 부스   BRIDGE 3.0 사업의 성과를 기반으로 이번 전시회에 참여한 사이테크놀로지㈜는 ‘반사광 조절 시스템이 탑재된 조난자 탐색 시스템’으로 사람의 안전을 지키는 제품 부문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CCTV 카메라로 혁신상을 받은 기업은 사이테크놀로지㈜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본 기술은 광운대 스마트융합대학원 권순철 교수의 핵심 기술 및 노하우를 이전받은 사례로, 향후 더 많은 기업들이 광운대의 기술 및 노하우 이전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반을 검증한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CES 혁신상 전시, 싸이테크놀로지 제품, ‘반사광 조절 시스템이 탑재된 조난자 탐색 시스템’   사이테크놀로지㈜는 2011년 설립된 보안 카메라 분야의 선두 주자로, 지난 10년간 기술적 완벽을 모토로 CCTV의 생산, 시공, 판매, AS 및 기술 개발을 이어오고 있다. 제품 생산 공장과 현장, 매장, 연구소까지 유기적인 협업 시스템을 통해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혁신 기업이다. 정영욱 산학협력단장은 “이번 CES에서의 성과는 광운대학교의 우수한 기술력과 경쟁력을 검증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라며 “광운대의 산학협력 시스템을 통해 전략적인 연구 협력과 전 산업 분야에서...
kwdongmoon 2025.02.03 추천 0 조회 84
지능형로봇혁신융합대학사업단, 적극적인 학생 지원 통해 로봇경진대회에서 우수성과 이끌어   - 포스코 전국 학생 로봇 아이디어 경진대회 최우수상, 2024 차세대 물류시스템 MVP 공모전 대상 수상 등 우수한 성과 이어져 향후 활동 ‘기대’ -   모교 지능형로봇혁신융합대학사업단(단장 정문호 로봇학부 교수)의 지원을 통한 학생들이 국내 로봇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주목받고 있다.     작년 9월 6일(금)부터 2박 3일간 포항에서 개최된 2024 육군참모총장배 국방로봇 경진대회에서는 모교 동아리 ‘바람(BARAM, 이일주, 고건우, 소재웅, 안준호, 장유선, 최은선) 학생들이 참여해 다양한 상황과 환경에 대한 대처 능력을 가진 로봇을 선보여 인기상을 수상했다. 11월 20일(수)에 진행된 지능형로봇 창업경진대회에서는 킥보드를 수거하는 로봇을 개발한 TriUnity Robotics 팀(정윤석, 염준우, 홍소현)이 우수상을 수상했다. 본 로봇은 킥보드 업체에서 킥보드와 킥보드 수거 관련 자문을 통해 퀵보드 업체의 수거 문제에 대한 로봇을 솔루션을 제안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어 11월 26일(화)에는 지능형로봇 공동 마이크로 전공 로봇 SI 교육과정을 수강한 ‘타코틱스’팀(최상혁, 홍지원, 위민재, 황찬욱)이 포스코 전국학생 로봇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협동로봇 2대를 이용한 타코 제작 시스템을 구현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타코틱스팀은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사업 컨소시엄에서 공동으로 운영한 공동 마이크로 전공을 이수하면서 다양한 로봇 프로젝트를 경험한 것을 기반으로 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이끌어 냈다. 마지막으로 12월 30일(월)에 열린 2024 차세대 물류시스템 MVP 공모전에서 모교 지능형로봇혁신융합대학사업단의 교육 서포터즈(장승원, 맹민영, 안수진, 이진우, 조상흠) 학생팀이 석사생 참가자들을 제치고 대상을 수상했다. 물류 창고 내에서 적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kwdongmoon 2025.02.03 추천 0 조회 82
박재영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 호흡부터 인체활동까지 연속모니터링하는 통기성 센서 패치 개발   - 호흡, 맥박, 인체활동 등 연속모니터링 하는 나노다공성 탄소소재 기반 통기성 센서 개발 - - 디지털 의료/헬스케어, 로봇, 스포츠, 피트니스, 게임 등에 핵심기술로 활용 기대 - - 국제 저명 학술지 엘시비어 출판의 케미컬엔지니어링저널 (IF:15.1)에 논문 게재 -   모교 박재영 교수 연구팀(전자공학과)은 호흡 및 맥박과 같은 인체의 생리신호 뿐만 아니라 관절운동과 같은 인체활동을 실시간 연속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고성능의 인장센서 패치를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초고감도와 높은 기계적 신뢰성, 그리고 신축성을 확보하여 웨어러블 의료 및 헬스케어, 게임, 스포츠, 로봇 등에 실용화 가능성을 높였으며, 통기성 확보를 통해 피부 센서 인터페이스에서 열 발산과 땀 증발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박재영 교수(좌)와 가간 박사과정(우)   최근 저항형 혹은 용량형 압력 혹은 인장센서를 유연기판에 집적화하여 다양한 생체신호 정보의 측정 및 모니터링을 통한 웨어러블 디지털 의료 및 헬스케어 사물인터넷 (IoT) 응용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센서들은 호흡과 같은 미세한 인체 움직임부터 인체활동까지 동시에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고, 신축성이 낮고 통기성이 없어 장시간 사용 시 성능의 열화 및 데이터의 정확성 확보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팀은 하이브리드 다공성 탄소 (Hybrid Porous Carbon, HPC) 소재와 공기 투과성을 갖는 다공성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스트레쳐블 기판을 이용해서 성능이 우수한 저항형 인장센서를 개발했다. 하이브리드 금속 유기골격체, ZIF-8@ZIF-67로부터 얻어진 코어-쉘 구조의 나노다공성 탄소는 코발트가...
kwdongmoon 2025.02.03 추천 0 조회 80
이지훈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 고전류/고온 산업 운영 조건에서 녹색 수소 생산을 위한 새로운 크롬 도핑된 NiBP 미세구 전기촉매 개발   - 크롬 도핑된 니켈-붕화물-인화물(Cr/NiBP) 미세구(micro sphere, MS) 전기촉매로 고전류/고온 산업 운영 조건에서 우수한 성능 및 안정적인 산업적 요구 사항 충족 -   - JCR 카테고리MATERIALS SCIENCE, MULTIDISCIPLINARY 분야 Q1, IF: 10.7 과학전문지 게재 -     모교 전자공학과 이지훈 교수 연구팀은 전자공학과 아하산 연구원(제1저자)과 함께 크롬 도핑된 니켈-붕화물-인화물 (Cr/NiBP) 미세구 (micro sphere, MS) 전기촉매를 2단계 열수 접근 방식과 사후 어닐링 기법을 통해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녹색 수소의 광범위한 적용은 심각한 기후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전 세계 에너지 수요를 충족 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산업 조건에서 강력한 고급 전기촉매 개발이 핵심 기술 과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크롬 도핑된 니켈-붕화물-인화물(Cr/NiBP) 미세구(micro sphere, MS) 전기촉매를 사후 어닐링과 2단계 열수 접근 방식을 통해 시연하였다. 소량의 Cr 원자 통합으로 활성 부위와 고유 특성을 크게 향상시켜 수분 해리와 신속한 중간체 형성을 가속화할 수 있었다. Cr/NiBP MS는 1 M KOH 내 100mA cm-2에서 78mV 및 250mV 전위에 걸쳐 낮은 수소 발생 반응과 산소 반응 전압을 보여주며, 이는 기존 보고된 촉매전극 대부분의 성능을 능가하는 결과이다. 최고의 이중기능성 전기촉매 중 하나로서, Cr/NiBP │ Cr/NiBP 2전극 구조는 1M KOH 100mA cm-2에서 1.54V에...
kwdongmoon 2025.02.03 추천 0 조회 83
 ‘지역-대학 협력 평생학습 포럼’ 성황리에 마쳐   - ‘N차 시대! 세계로의 연결과 확장’ 주제로 발표 및 토론 -   - 광운대가 서울시 동북권 평생 교육 허브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광운평생교육전략추진위원회(위원장 : 유정호 광운대 교무·행정부총장)가 주최하고 참빛인재대학과 교육혁신원 성인학습성공센터가 공동 주관한 “지역-대학 협력 평생학습 포럼”이 지난 2025년 1월 9일(목) 광운대학교 80주년 기념관에서 성공리에 개최되었다. ‘N차 시대! 세계로의 연결과 확장’을 주제로 개최된 이번 포럼은 김성길 참빛인재대학 학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유정호 부총장(LiFE 2.0 사업단장)의 환영사, 한준상 한국미래교육학회 학회장의 축사, 한용진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원장을 대신하여 김종선 본부장의 격려사가 이어졌다.     기조강연에서는 최운실 미래글로벌공동체 재단이사장이 N차 시대에 평생교육이 갖는 힘의 근원과 가치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소개하면서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조수영 광운대 게임콘텐츠학과 교수는 <주제발표1 : AI 시대 미래산업과 직업세계>에서 AI시대의 기술적 특징과 변화 필요성을 소개했다. 이어진 <주제발표2 : 지역협력 평생교육 사례공유>에서 조남억 시립성북청소년센터 관장이 변화하는 N차 시대에 맞춘 청소년 지원 운영 사례와 성과를 공유했다. <주제발표 3 : ‘N잡러’로의 초대>에서는 양진영 ‘펀펀한 재직자’ 네이버 카페 대표가 N잡러로서 이 시대를 살고 있는 본인의 경험담을 소개하면서 평생학습 사회 N잡러의 의미를 제안했다. 이재주 한국평생교육사협회 회장, 김종선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본부장, 김지영 명지대학교 교수가 참여한 종합토론에서는 AI와 공존하기 위한 평생학습, 지역과 대학을 연결하는 플랫폼의 구축, N차 시대에 대학의 역할, N잡러로서 살아가는 길에 필요한 경력메타 역량 등에 대해...
kwdongmoon 2025.01.22 추천 0 조회 85
광운대 HUSS 글로벌 공생 사업단, 지산학 리더십 아카데미 성료   : 전통과 혁신의 융합으로 글로벌 리더 양성   글로벌 공생 컨소시엄-지역 컨소시엄-디지털 컨소시엄-위험사회 컨소시엄의 20개 대학이 공동으로 진행한 지산학 리더십 아카데미가 지난 2025년 1월 6일(월)부터 8일(수)까지 전주대학교 및 전주한옥마을 일대에서 진행되었다.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이번 아카데미는 현장 강의, 온라인 강의, 문화 공연, 건축한옥마을 탐사, 공모전 및 시상식 등 다채롭게 마련되었다.   4개 컨소시엄(20개 대학) 공동융합캠프 중 글로벌 공생 컨소시엄 참가자들   첫 단계로 진행된 현장 강의에서는 지역 발전과 콘텐츠 산업, AI와 미디어 산업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산업과 학문의 연계를 강조했다. 이어 디지털 위험 사회 속 글로벌 공생을 모색한 온라인 강의에서는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통찰을 제공했다.   이와 함께, 참가자들은 건축한옥마을 탐사 활동에서 조를 이루어 자율적으로 한옥마을을 탐방하며 사진을 찍고 추억을 쌓았다. 탐사 후에는 촬영한 사진으로 소규모 대회가 열렸으며, 우수작을 선정해 소정의 상품을 수여하며 활기찬 분위기를 더했다. 또한, 참가자들은 한옥스테이 숙박을 통해 전통 가옥에서의 생활을 경험하며 한국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을 직접 체험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아카데미에 참여한 박현준 학생(정보융합학부)은 “이번 리더십 아카데미는 학문과 산업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 깊이 이해할 수 있었던 기회였고, 특히 전통과 현대를 잇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과의 연결성을 새롭게 경험할 수 있었던 점이 인상적이었다”라며 참여 소감을 전했다....
kwdongmoon 2025.01.22 추천 0 조회 85
광운대 캠퍼스타운 사업단 2년 연속 ‘최우수 사례’ 선정   - 광운대 캠퍼스타운 창업 기술 특화 프로그램 우수사례 선정 -   광운대 캠퍼스타운 사업단(단장 : 박태원 교수)이 서울시 캠퍼스타운이 주관하는 성과발표회에서 2년 연속 최우수 사례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광운대 캠퍼스타운 사업단은 캠퍼스타운 특화 분야 기술 창업 활성화를 실현한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아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최우수사례로 선정되었다.   ONLY 광운 네트워킹데이 사진   이번 성과 발표회는 지난해 12월, 서울시 캠퍼스타운 사업을 대상으로 우수사례 발굴·확산을 위해 개최되었으며 단위형 11개, 종합형 16개 대학이 참가했다.   최우수사례로 선정된 ‘ONLY 광운’ 특화 창업 교육 프로그램은 광운대 교수진이 직접 참여한 기술 창업 교육을 통해 입주기업의 사업 고도화를 돕고 기업 간 네트워킹을 통해 상호 협력과 기술교류의 기회를 제공하여 성공적으로 기술 협력을 활성화한 사례로 인정받았다.   특히, 광운대 캠퍼스타운 에너지분야 입주기업 ㈜리서스는 광운대 ‘ONLY 광운’ 참여 교수진과의 주기적인 기술 자문 멘토링을 통해 2024년 3건의 특허를 출원했고 광운대 기술지주회사로부터 1천만 원의 투자유치를 받았으며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창업성장기술개발(R&D) 사업에 선정되는 등 우수한 성과를 거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광운대 캠퍼스타운 우수사례를 발표하는 박태원 단장   광운대 캠퍼스타운 사업단 박태원 단장(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은 “광운대 캠퍼스타운 입주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사업을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운대 캠퍼스타운 사업단은 2017년부터 8년간 서울시 캠퍼스타운 사업에 참여해 동북권 청년창업...
kwdongmoon 2025.01.22 추천 0 조회 97
종초은 연구교수(환경공학과), 국제저명학술지 SPT 편집위원 선정   종초은 연구교수가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편집위원으로 선정되었다.   모교 환경공학과(환경나노기술연구소) 및 PBRC(Plasma Bioscience Research Center, 플라즈마바이오과학연구센터) 소속 연구교수인 종초은 연구교수가 2025년 1월 1일(수)부터 Elsevier가 발행하는 Q1 저널인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이하 SPT)의 편집위원(Editor)으로 임명되었다. SPT(IF= 8.2, 2024)는 화학 및 환경 공학 분야 분리/정제를 위한 창의적인 기술 등에 관한 내용을 주로 싣고 있으며, 화학 공학 분야에서 상위 8.2%에 속하는 권위있는 저널이다. 현재 전 세계 단 20명의 편집 위원들이 활동 중이다. 종초은 연구교수는 수처리에서 고급 산화 공정을 위한 나노소재 개발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광운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 후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and Energy(환경 분야 1위, IF 22.1, JCR 0.9%), Water Research(수질 분야 1위),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등 50여편의 논문들을 제1저자 내지 교신저자로 출간했다. 현재 종초은 박사는 Journal of Water Process Engineering(IF 6.3, JCR 5.1%)의water resources 분야 부편집장으로 활동 중이며, 지난 2024년에는 EcoMat, Wiley(IF 14.6)의 젊은 자문 위원으로 선정된 바 있다.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separation-and-purification-technology/about/editorial-board web site: www.jentl.net   출처 : 광운대학교 포커스 (kw.ac.kr)
kwdongmoon 2025.01.17 추천 0 조회 93
김민혁, 윤산 학생(전자공학과), 2024년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 추계 학술대회 수상   모교 전자공학과 김민혁, 윤산 학생(지도교수 김현수)이 지난 2024년 11월 21일(목)부터 개최된 ‘2024년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각각 우수논문상과 장려상을 수상했다.   ‘2024년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수상을 한 김민혁(사진 왼쪽), 윤산 학생   김민혁 학생의 논문 제목은 “Cost-Effective 3D electrodes for Superior Biosensing Performance”으로 기존의 2D 전극 대비 높은 민감도를 갖는 저비용 3D 전극 제작 방법을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전도성 액체 금속과 PDMS 기반의 가이드 마이크로채널 구조를 활용해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3D 전극을 제작하는 혁신적인 공정을 제시했다. 김민혁 학생의 연구 결과는 기존 2D 전극보다 약 500배 이상의 높은 민감도를 기록하며, 환경 독소 검출 등 다양한 바이오센싱 응용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복잡한 제조 공정과 고비용 문제를 해결하며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킨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윤산 학생의 논문제목은 “Fabrication of A Thin, Stretchable Sensor Using Liquid Metal”으로 새로운 방식의 얇고 신축성 있는 센서를 개발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연구는 액체 금속 기반의 신축성 센서를 기존 공정보다 효율적이고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동결 주조(freeze casting) 기술을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해당 기술은 액체 금속을 패턴화한 뒤 이를 동결하여 얇고 유연한 고분자층으로 전사함으로써, 기존 센서 제작 방식에서 발생하던 변형과 손상을 방지했다. 이 방법을 통해 두께 300μm에 달하는 초박형 신축성 센서를 성공적으로 제작했으며, 이는 기존보다 민감도가 뛰어난 센서를...
kwdongmoon 2025.01.17 추천 0 조회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