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교소식
[광운 Hot Issue] 구상모 교수(전자재료공학과), 글로벌 반도체 네트워크 강화 통해 세계적인 반도체 기술 혁신 주도   - 한-영 반도체 협력 포럼 초청 및 ICSCRM 프레스 컨퍼런스 주최로 모교 위상 강화 -   모교 구상모 교수(전자재료공학과)가 반도체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선도하며 모교의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구상모 교수는 지난 2025년 2월 19일(수) 한-영 반도체 협력 포럼(UK-ROK Semiconductor Stakeholder Forum)에 초청되었다. 구 교수의 이번 초청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2년 연속 발제자로 초청된 것으로 글로벌 화합물 반도체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모교의 위상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영 반도체 협력 포럼(UK-ROK)은 양국 간 전략적 협력을 심화하기 위한 중요한 자리로 올해 포럼에서는 고에너지갭 반도체 및 전력반도체, 이종 집적 및 첨단 패키징(AI 하드웨어 포함), 그리고 차세대 통신 및 RF 기술을 중심으로 한 3대 전략적 분야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구 교수는 지난해 한영 수교 150주년을 기념한 최초의 영국 반도체 사절단의 한국 방문 당시, 6대 협력 분야 중 화합물 반도체 협력의 주요 연사로 초청받아 활동한바 있다. 작년에 이어 올해 포럼에서도 한국 측 유일한 연속 연사이자 토론 발제자로 초청받은 구 교수는 한-영 반도체 기술 협력의 방향성을 제시했고 이후 주한 영국대사관저에서 열린 협력 만찬에 참석하여 콜린 크룩스(Colin Crooks) 주한 영국 대사 및 영국 반도체 기업 대표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이번 포럼에는 영국 과학, 혁신 및 기술부(DSIT) 반도체 대표단과...
kwdongmoon 2025.03.13 추천 0 조회 52
김남영 교수(전자공학과)의 연구논문, InfoMat(IF: 24.798) 저널지 "2024 InfoMatExcellent Papers" 선정   - 플렉서블 센서와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지능형 지각 시스템 연구로 차세대 단계의 AI 개발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전망 -   김남영 교수(전자공학과)   모교 김남영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은 2024년도에 출판한 논문 “Advances in flexible sensors for intelligent perception system enhan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으로 InfoMat 저널지(IF: 24.798 및 상위 관련 분야3%)가 2024년도에 출판한 논문 중 "2024 InfoMatExcellent Papers"에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플렉서블 센서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학제 간 연구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 논문이다. 유연한 센서와 지능형 시스템은 최근 들어 광범위한 주목을 받고 있는 정보 분야의 중요한 프론티어 연구이다. 논문의 요약은 아이디어가 참신하고 그림의 질이 높으며 저자의 중외 협력 특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플렉서블 센서 재료는 현재 연구 핫스팟 중 하나이며 이 검토는 심층적인 논의와 전망을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능동성 재료와 혁신적인 구조가 지능형 감지 시스템에서 플렉서블 센서의 성능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센서를 다양한 잠재적 시스템에 대해 머신 러닝(ML)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중점을 두고 플렉서블 센서와 인공 지능(AI)의 통합과 관련된 최신 발전을 탐구했다. 특히, 기계 학습에 대한 부분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유연한 센서와 AI의 결합에 대한 학문적 진전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유연한 센서와 기계 학습을 결합한 지능형 인식 시스템의 전망을 제안하며...
kwdongmoon 2025.03.13 추천 0 조회 58
박철환(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 광범위한 응용 가능성 지닌 혁신적 항산화 신물질 합성   - Food Chemistry 과학전문지 게재 (JCR JIF Percentile 상위 3.1%) - - Naringin과 3HB의 효소적 에스터화 반응을 통한 신규 항산화 물질인 3HBN의 합성 전략 제시 - - 향상된 체내 흡수율과 생물학적 활성을 통한 다각적 산업 분야에서의 혁신적 응용 가능성 기대 -   모교 박철환 교수(화학공학과) 연구팀은 Naringin과 3HB (3-hydroxybutyric acid)의 효소적 에스터화 반응을 통해 신규 항산화 물질인 3HBN (6′′-O-((±)-3-hydroxybutyryl)naringin)을 합성함과 동시에, 최적화된 반응 조건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합성 전략을 확립했다. 3HBN은 향상된 체내 흡수율과 우수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이며, 이를 통해 식품, 화장품 및 제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항산화 물질로서의 잠재력을 입증했다.   (좌측부터) 김경아(제1저자), 이강현(공동제1저자), 유하영(공동교신저자), 박철환(지도교수/교신저자)   Flavonoid는 식물에서 유래한 이차 대사산물로, 항산화, 항염증, 항암 등 다양한 생리학적 효능을 지니고 있다. Flavonoid의 일종인 Naringin은 시트러스 과일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뼈 재생, 대사증후군 개선, 유전적 손상에 효과적이다. 또한, 산화 스트레스를 조절을 통해 중추신경계 질환에 효과적이며, 당뇨병의 잠재적인 치료제로 입증되었다. Naringin은 빛, 습도, 산소에 대한 불안정성으로 인해 생체 내 적용에 한계가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에스터화 반응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지방산을 이용한 에스터화 반응에 집중되어 있으며, 지방산 외 다른 물질과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방산 이외의 우수한 생물학적 효능을 가진 물질과의 에스터화...
kwdongmoon 2025.03.13 추천 0 조회 88
이택 교수(화학공학과) 연구실 학부 연구생, 신속한 MXene/truncated aptamer 이중층의 지카 바이러스 바이오센싱 플랫폼 개발 - 절단된 앱타머를 이용한 MXene 기반의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개발 - - 개발한 플랫폼으로 10분 이내 인간 혈청 환경에서 고감도 검출 성능 입증 - - 광운대 학부연구생 주도로 작성한 논문이 Chemistry, Analytical 분야 Q1, 국제 저명 학술지 Microchemical journal게재 -   모교 이택 교수 연구팀(화학공학과) 주민영 학사과정 (학부연구생)이 지카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싱 플랫폼을 개발하여 이를 기반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염병들에 준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단 플랫폼 구축 가능성을 제시했다. (좌측부터) 주민영 학사과정생, 이택 교수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하였던 Coronavirus disease 2019(이하 Covid-19) 팬데믹의 유행은 전염병의 심각성을 다시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팬데믹 이후에도 다양한 전염병들이 지속적으로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국지적으로 발생하던 감염병들이 점차 확산되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유럽과 아시아에서도 열대 및 온대 지방에서 주로 유행하던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전염 숙주의 다양성과 유전자 돌연변이에 따른 새로운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모기 매개의 플라비 바이러스 일종인 지카 바이러스는 높은 전염성을 보이며, 최근에는 심각한 신경학적 합병증 유발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각성까지 보고되어 공중보건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인 전염병 진단 방법으로는 정량적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qRT-PCR), 효소 결합면역 흡착 검사(ELISA), 플라그 감소 중화 테스트(PRNT) 등이 활용되지만, 이러한 방식은...
kwdongmoon 2025.03.13 추천 0 조회 58
이현호 교수(전자공학과)연구팀, 과잉 전하 주입으로 인한 InP 기반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 열화 원인 규명   - QLED 내부에서 과도 전하가 유발하는 열화 메커니즘 직접 검증 - - 국제 저명 학술지 ACS 출판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에 논문 (IF:8.3) 게재 -   모교 이현호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이 환경 친화적인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주목받는 카드뮴(Cd)-프리 인듐 포스파이드(InP) 기반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의 동작 열화(degradation)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전하 운반자(특히 전자)의 과도한 축적으로 인해 InP 양자점(QD) 표면에서 리간드(계면 안정화 물질)가 탈착되며, 동시에 홀 수송층(HTL)의 열화가 진행되는 과정을 직접적인 실험 증거(FTIR, XPS 분석)를 통해 입증했다. (좌) 유형석 석박통합과정 연구원 (우) 이현호 교수   기존 Cd 기반 QLED는 높은 효율과 긴 수명을 자랑하지만, 환경 유해 물질(Cd) 사용 규제로 인해 Cd-Free InP QLED 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InP QLED는 Cd 기반 QLED에 비해 열화 안정성이 낮아, 장시간 구동 시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과도한 전자 주입이 QD 표면과 계면에 미치는 영향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으나, 이를 실험적으로 명확히 입증한 사례는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이중 발광층 구조를 활용하여 과도 전기발광(Transient Electroluminescence, TREL) 및 시간분해 광발광(Time-Resolved Photoluminescence, TRPL) 분석을 통해 전자 과축적 현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했다. 이를 통해 전자 누적으로 인해 QD 표면 리간드가 탈착되며(FTIR, XPS 분석 결과), 이에 따라 소자 내부 누설 전류 증가 및 광발광 효율 저하가 동시에 발생함을 확인했다. 또한, 연구팀은 QD/HTL 계면에서...
kwdongmoon 2025.03.06 추천 0 조회 81
화학공학과 캡스톤설계 학부생들(지도교수 김영훈), 자외선과 적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광용 나노구조체 필름 개발   - 가시광선만 선택적으로 투광할 수 있는 CuS-TiO2 중공 나노구조 필름 개발 - - 화공열역학적 해석을 바탕으로 건축 및 도시설계 분야에 융합 가능한 기술 개발 - - 국제 저명 학술지 Building and Environment (IF 7.1, JCR Rank 상위 4.1%) 게재 -   모교 화학공학과 캡스톤설계 학부생(지도교수 김영훈 교수)인 김민성(1저자), 안우근, 김두현, 홍영기 등은 태양광 차단과 실내 온도 조절을 위한 CuS-TiO₂ 중공 나노구조 필름을 개발하고 이를 건축 및 도시설계 분야에 적용 가능한 신소재로 제안했다. 이번 연구는 학부생 수준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나노구조체 제조 및 에너지 절감에 대한 모델링을 동시에 수행했다는 점이 뛰어난 평가를 받았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 및 환경 보호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차세대 차광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하며 국제 저명 학술지 Building and Environment에 게재되었다.     태양광 조절을 통한 실내 냉방 에너지 절감 및 환경 보호 건축물의 냉방 에너지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태양광으로 인한 실내 온도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전통적인 차광 기술은 단순한 유리 코팅이나 열반사 필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가시광선 투과도가 낮아지거나 실내 채광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uS(황화구리)와 TiO₂(이산화티타늄)를 복합화한 중공 나노구조체를 설계하고 이를 유리 기판에 코팅하여 실내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세대 차광 필름을 개발했다....
kwdongmoon 2025.03.06 추천 0 조회 65
이석준 교수(경영학부)와 학생들, 서울시 어린이병원에 뜻깊은 기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하고 광운대학교에서 운영하는 산업맞춤 단기직무능력 인증과정 ‘매치업(Match業)’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뜻깊은 나눔이 실천됐다. 모교 이석준 교수(경영학부)와 '의료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실무' 강좌 수강생들은 지난 2024년 12월 20일(금) 제2회 매치업 경진대회에 참석하여 (주)아이센스로부터 영예의 베스트콜라보상을 수상하며 부상으로 상품권 50만원을 받았다.   제2회 매치업 경진대회에서 ㈜아이센스로부터 베스트콜라보상을 수상한 이석준 교수와 수강 학생들   이들은 실무 역량 강화와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에 기여하는 뜻깊은 선행을 통해 광운대학교의 창학 정신인 ‘실천궁행’을 실천했다. 특히, 이석준 교수, 운영TA(전재헌), 수강생들(박승은, 백세미, 강지은, 나세영, 구지은, 박훈범, 민채영, 최상록, 문혜진, 김서경)은 의료데이터 분석 강좌의 취지에 맞게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을 통해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에 상금 전액을 기부하였으며, 이석준 교수가 현금 50만원을 추가 기부하여 총 100만원을 재단 측에 전달했다. 이석준 교수는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는 경험을 쌓을 뿐만 아니라, 나눔을 실천하는 모습이 매우 자랑스럽다”라며 “앞으로도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진행하고 있는 매치업(Match業) 사업은 생명건강(바이오헬스), 미래자동차 등 신산업·신기술 분야의 직무능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대표기업과 교육기관이 협업하여 온라인 기반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는 사업이다. 모교에서는 교육혁신원 원격교육지원센터에서 매치업(Match業) 사업(담당: 초빙교수 최순리, 직원 한규리)을 담당하고 있으며, 본 사업을 통해 신산업 분야에서 전 국민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힘쓰고 나아가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kwdongmoon 2025.03.04 추천 0 조회 68
박규동 교수(정보융합학부) 연구팀, HCI Korea 2025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및 Creative Award 수상   모교 박규동 교수(정보융합학부)가 지도하는 디지털경험분석 연구실(IDEA Lab.)과 학술소모임(인간컴퓨터상호작용 커뮤니티, CHIC) 학생들이 지난 2025년 2월 10일(목)부터 12일(토)까지 강원도 홍천에서 개최된 HCI Korea 2025 학술대회에 대거 참여 및 수상하면서 학문적 우수성과 창의적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   본교 수상자 단체사진 ​   HCI Korea 2025 학술대회는 매년 1,500명 이상의 전문가와 학생들이 모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및 사용자경험(HCI/UX) 분야의 최신 동향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학술 행사다. 올해 대회에서는 Creative Award 작품 65점 전시, 포스터 85편 및 논문 160여 편의 발표가 진행되며, 각계각층의 연구자들이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인공지능응용학과 석사과정 김호준 학생은 “3D 인간 자세 추정을 이용한 상지 재활 운동 인식 시스템 개발 및 평가”라는 주제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며,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본 연구는 카메라 1대 활용 시 3D 자세 추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향후 재활 치료 분야에서의 실질적인 임상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김호준 학생은 "석사 과정 중 수행한 연구가 좋은 평가를 받아 기쁘고, 늘 아낌없는 지도와 격려를 보내주신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라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정보융합학부 학사과정의 손아현, 김해민, 문혜진 학생과 동북아문화산업학부 학사과정의 강윤수 학생은 “운동 동기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피트니스 플랫폼: 피트니스 히어로즈”라는 주제로 작품 전시를 통해 Creative Award...
kwdongmoon 2025.03.04 추천 0 조회 70
장민 교수(환경공학과) 연구팀, 시간당 0.36% 과산화수소 생산 가능한 전기-촉매 물질 개발 - 응용 표면 과학 (JCR IF 6.3, 재료 과학(코팅 및 필름) 분야 1위, JCR 순위: 97.83%) 과학 저널에 게재 -   (좌측부터) 종초은 연구교수, 윤소연 박사, Reneesha Valiyaveettil Basheer, Nurhaslina 박사과정 Abd Rahman 박사과정, 장민 교수   모교 환경공학과 박사과정생인 Reneesha Valiyaveettil Basheer(제1저자)와 Nurhaslina Abd Rahman(박사과정), 윤소연 박사, 종초은 연구교수 (공동교신저자)를 포함한 장민 교수 (교신저자, 대한중점연구소 부소장, 환경나노기술연구소 (JENTL) 소장) 연구팀은 전자바이오물리학과 임준섭 박사, 최은하 교수 (PBRC 소장) 그리고 이화여자대학교 윤여민 교수와 함께 전기 분해를 통한 고효율 과산화수소 생산을 위한 고성능 전극을 개발했으다. 그 결과는 표면 코팅 분야의 선도적인 저널인 Applied Surface Science에 게재되었다. 특히, 연구 결과를 통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기-촉매적 과산화수소 생산을 위해 최적화된 새로운 플라즈마 처리 트리메톡시페닐실란 전극을 소개하고, 반응 메커니즘에서 실라놀 작용기의 중요한 역할을 밝혀냈다.   과산화수소(H₂O₂)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 강력한 산화력을 바탕으로 살균, 소독, 표백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필수적인 화학 물질이다. 특히, 사용 후 물과 산소로 분해되어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주요 생산 방식인 안트라퀴논 공정은 높은 에너지 소비와 환경 부담이라는 단점이 있어, 친환경적인 전기촉매적 산소환원반응(oxygen reduction reaction, ORR)을 통한 과산화수소 생산 기술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리메톡시페닐실란(TMPS)으로 코팅된 탄소펠트(CF)에...
kwdongmoon 2025.02.26 추천 0 조회 77
이택 교수(화학공학과) 연구팀, 암 진단을 위한 전기화학적 cell-SELEX 모니터링 분석 기술 및 바이오센서 개발   - 전기화학적 검출 원리를 cell-SELEX 모니터링에 적용한 새로운 분석 기술 개발 - - 개발한 분석 기술로 선별한 앱타머, 대장암세포 검출 바이오센서에 적용하여 성능 입증 - - 국제 저명 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F : 13.4, JCR: 3.8%) 게재 -   모교 이택 교수 연구팀(화학공학과) 권예인 석사과정생이 암 진단용 체외진단 의료기기 및 표적 치료제에 적용할 수 있는 간단하고 비용이 효율적인 전기화학적 cell-SELEX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해 대장암세포에 높은 친화도를 가진 앱타머를 선별하고 이를 활용한 앱타머 친화성 매개 단백질 정제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였으며 대장암 진단 앱타센서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암 진단 장치를 위한 포괄적인 개발 프레임워크를 구축했다.     앱타머는 3차원 구조의 단일 가닥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로, 항체와 같이 단백질, 지질, 이온 및 세포와 같은 표적 물질에 높은 특이성으로 결합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높은 선택성과 특이성, 안정성, 낮은 생산 비용 및 낮은 면역원성으로 인해 항체의 대안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암을 진단하는 액체 생검 또는 암 표적 치료를 위한 약물 전달 시스템에 적합하다. 앱타머는 지수 농축 프로세스에 의한 리간드의 체계적인 진화 (SELEX)를 통해 선별된다. 특히 전체 세포를 대상으로 선별하는 cell-SELEX는 세포 표면에 사전 지식이 필요하지 않으며 결합 표적이 정제되지 않은 기본 형태를...
kwdongmoon 2025.02.26 추천 0 조회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