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교소식
광운대, 에티오피아의 미래 도시를 설계하다! 스마트시티 개발 협력 나서 - 에티오피아, 한동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민정책연구원과 다자간 MOU 협약 체결 - - 광운대, 스마트시티 R&D 주관 대학으로 에티오피아 도시 인프라 전환 선도 -   광운대학교(총장 천장호)는 지난 2025년 5월 16일(금) 에티오피아의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과 디지털 행정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에티오피아 도시 인프라부, 한동대학교,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이민정책연구원(MRTC)과 함께 ‘한-에티오피아 지속가능한 그린·스마트 도시 개발 협력 다자간 MOU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을 기반으로 에티오피아의 도시화와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국제개발협력을 추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진 좌측부터> 에티오피아 도시인프라부 위임 이재기 커미셔너(코디네이터), 이민정책연구원 이규홍 부원장, AU 광물포럼 녹색연합(AGERE) 대표 에샤투 박사(Dr. Eshetu B. Yimenu), 광운대 천장호 총장,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범진 도로교통연구본부장, 한동대 국제개발혁신연구소 김윤선 소장   광운대는 이번 협력에서 광운대 스마트시티 연구단(KW-SCRC)을 통해 R&D 주관 대학으로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과 AI 기반 디지털 행정 모델 개발을 주도할 예정이다. 또한, 현지 산학연 클러스터 설립과 인재 양성에 주력해 에티오피아의 도시 인프라 전환을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안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식에서는 각 기관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에서는 박범진 도로교통연구본부장과 이찬주 대외협력홍보본부 글로벌사업실장이, 이민정책연구원(MRTC)에서는 이규홍 부원장과 이정훈 기획관리팀장이 참석했다. 에티오피아 도시 인프라부에서는 이재기 커미셔너(코디네이터)와 AU(아프리카연합) 광물포럼 녹색연합(AGERE) 대표(CEO)인 에사투 박사 (Dr. Eshetu B. Yimenu)가 참여했으며, 한동대학교에서는 김윤선 국제개발혁신연구소 소장이 참석해 자리를...
kwdongmoon 2025.05.19 추천 0 조회 6
광운대, 인도 최상위 공대 IIT(Jodhpur)와 강력한 제휴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확장 통해 첨단 연구중심 대학으로 도약한다! - AI·로봇·데이터사이언스 연구 네트워크 구축… 글로벌 인재 양성 및 첨단기술 공동 연구 추진 - 광운대학교(총장 천장호)는 2025년 5월 14일(수) 조드푸르 인도공과대학(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jodhpur, 이하 IIT jodhpur)과 온라인 간담회를 개최하며 두 기관 간의 미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3월 31일 체결된 양 대학 간 MOU를 바탕으로 AI, 로봇, 전자바이오물리학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광운대와 조드푸르 인도 공과대학과의 온라인 간담회는 AI, 로봇, 전자바이오물리학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사진은 온라인 간담회 장면   이날 온라인 간담회에는 광운대 김상연 대외국제처장, 조성우 국제교육원장, 로봇학부 박수한 교수, 전자바이오물리학과 나젠드라 교수가 참석했으며, IIT Jodhpur 측에서는 AI 데이터사이언스 학부 Dr. Bhivraj Suthar, Dr. Vignesh Muralidharan, 기계공학부 Dr. Riby Abraham Boby, Dr. Roshan Kumar Hota, Prof. Suril V. Shah가 참여했다. 광운대학교는 현재 인도 내 14개 고등교육기관과 협정을 맺고 있으며, 이번 IIT Jodhpur와의 협력은 인도 명문 공과대학 네트워크와의 교류를 더욱 확장하는 계기로 평가받고 있다. IIT Jodhpur는 인도 내 최상위 공과대학 중 하나로, 23개의 IIT 캠퍼스 중에서도 AI, 데이터사이언스, 로봇공학 및 기계공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IIT Jodhpur는 인도 정부가 주도하는 Skill India 프로젝트의 핵심 파트너로서, AI 및 데이터사이언스 교육을 통해 인도 청소년의 역량...
kwdongmoon 2025.05.19 추천 0 조회 6
정일권 교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여론을 둘러싼 갈등 해부서 – 왜 여론은 사람마다 다를까』 출간     모교 정일권 교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가 신간 『여론을 둘러싼 갈등 해부서 – 왜 여론은 사람마다 다를까』(컬처룩 미디어 총서)를 출간했다. 이 책은 여론 형성의 과정부터 여론이 전달되고 해석되는 과정까지 폭넓게 조망하며, 각기 다른 여론이 형성되는 배경과 갈등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있다. 정 교수는 책에서 여론 형성 과정과 여론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분석하며, 정치적 갈등 상황에서 서로 다른 두 진영이 각기 다른 여론을 내세우는 현상을 조명한다. 또한, 여론 조사 결과가 왜 일치하지 않는지, 여론을 해석하는 접근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본다.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된다. 1장에서는 여론의 개념과 분류를, 2장에서는 미디어가 여론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며, 3장에서는 여론 조사의 한계와 문제점을 짚어본다. 4장에서는 정치적 맥락에서의 여론 활용을 분석하며, 마지막 5장에서는 AI 기술이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윤리적 문제를 다룬다. 정 교수는 “여론은 결코 단일한 목소리가 아니며 여론을 읽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미디어와 정치적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번 저서를 통해 여론의 실체를 비판적으로 재점검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널리즘 전문가인 정 교수는 정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여론, 디지털 저널리즘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생성형 AI와 여론 전략』, 『SNS혁명의 신화와 실제』, 『SNS를 통한 정치참여』 등이 있다. ★ 책 정보 자세히 보기: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64167638   출처 : 광운대학교 포커스 (kw.ac.kr)  
kwdongmoon 2025.05.15 추천 0 조회 16
  “광운대-시스코 협력센터에서 탄생한 AI 솔루션, 글로벌 해커톤 준우승 쾌거” - 정보융합학부‘camm’팀, 2025 시스코 이노베이션 챌린지 준우승 수상 -   모교 정보융합학부 졸업생과 재학생으로 구성된 ‘camm팀(박천수, 강민혁, 전서연, 유아름, 이상 정보융합학부)’이 2025 시스코 이노베이션 챌린지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5 시스코 이노베이션 챌린지 준우승 수상 정보융합학부 ‘camm’팀​​   지난해 12월 시작된 2025 시스코 이노베이션 챌린지는 AI로 대표되는 시스코의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주제로, 아이디어를 제출하는 아이디어톤과 제출된 아이디어를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해보는 해커톤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지난 2월 중순 심사를 통해 3개 부문 15개 팀이 아이디어톤의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선정팀 중 9개 팀이 지난 4월 9일 광운대-시스코 이노베이션 센터에서 열린 해커톤 대회에 참여했다.   2025 시스코 이노베이션 챌린지에 참가한 ‘camm’팀은 “시스코 Meraki 카메라를 이용한 CCTV 영상 비식별화 조회 서비스”를 주제로 아이디어톤에서 Best Challenge를, 해커톤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아이디어에 대한 우수성을 평가 받았다.   한편, 해커톤 행사가 열린 광운대-시스코 이노베이션센터는 광운대학교와 시스코가 산학협력의 일환으로 구축, 운영하는 센터로, 시스코 엔지니어와의 기술교육 워크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광운대학교와 광운대-시스코 이노베이션 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광운대학교 포커스 (kw.ac.kr)
kwdongmoon 2025.05.14 추천 0 조회 12
“기술과 수익의 연결고리, 광운대-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손잡다” 산학협력단-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주), 글로벌 IP 기술사업화 활성화 업무협약(MOU) 체결   모교 산학협력단(단장 정영욱)은 지난 5월 8일(목) 광운대 누리관에서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부사장 배동석)와 ‘글로벌 IP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보유한 역량과 자원을 기반으로 ▲주요 기술 분야 지식재산권(IP) 확보를 위한 기술 분석 ▲글로벌 IP 거래 및 라이선싱 등 수익화 프로젝트 추진 ▲기술개발 공동수행 ▲기술매칭 및 기술사업화 ▲기술교육과 신기술 동향 관련 학술행사 및 홍보 협력 등을 중심으로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좌측부터) 광운대 산학협력단 정영욱 단장, 광운대 컴퓨터정보공학부 심동규 교수,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배동석 부사장   정영욱 산학협력단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대학이 보유한 우수 IP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글로벌 IP, 특히 표준특허의 고도화를 지원함으로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광운대학교는 2024년 중앙일보 대학 종합평가에서 ‘과학기술 교수당 기술이전 수입액 5위’, ‘기술이전 건당 수입액 10위’를 기록하며 기술사업화 역량을 인정받은 바 있다. 앞으로도 다양한 산학 협력을 통해 대학의 기술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 광운대학교 포커스 (kw.ac.kr)
kwdongmoon 2025.05.13 추천 0 조회 11
김현수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 오별님 학생, 한국 MEMS 학술대회 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김현수 연구팀 사진(앞줄 좌측 첫 번째 김현수 교수, 좌측 세 번째 오별님 학생)   모교 김현수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의 오별님 학생이 지난 2025년 3월 26일(수)부터 개최된 ‘2025년 마이크로 나노시스템학회 춘계 학술대회(제27회 한국 MEMS 학술대회)’에서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했다. 오별님 학생의 논문 제목은 “On-Site Microfluidic Aptasensor System for High-Sensitivity Analysis of Microcystin-LR in Environmental Sample”로, 담수에서 생성되는 대표적인 녹조유래 독소인 Microcystin-LR(MC-LR) 검출을 위한 압타머 기반 바이오센서와 미세유체 기술을 통합한 현장 검출 시스템을 개발하여 MC-LR의 신속하고 정확한 검출을 달성했다. 기존에 MC-LR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와 오랜 시간이 필요해 현장에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웠으나, 개발된 압타머 기반 바이오센서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시한 유해 기준인 24 ppb보다 훨씬 낮은 1.9 ppb의 검출한계를 가지며 현장에서 3초만에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은 기존의 정밀 분석 장비인 HPLC와 비교해 오직 1 ppb 이하의 오차만 보여주어 높은 검출 정확도가 검증되었다. 간단한 작동과 휴대성을 갖춘 이 시스템은 수질 관리와 공중 보건 보호를 위한 실용적인 대안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출처 : 광운대학교 포커스 (kw.ac.kr)
kwdongmoon 2025.05.12 추천 0 조회 25
[광운인 릴레이 인터뷰] 남들과 다른 시선으로 자신만의 차별점을 브랜딩하라! 유나이티드브랜드 김상률 대표(경영학부 겸임교수) 현대자동차 ‘에쿠스’, SK텔레콤 ‘T’, KT&G ‘레종’ 등의 공통점은?     유나이티드브랜드 김상률 대표의 손을 거쳤다는 것이다. 22년간 국내 굴지의 기업 브랜드 개발 및 전략을 구축하는 최고의 브랜드 마케팅 전문가이자 2009년부터 광운대학교 경영학부 겸임교수로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김상률 대표. 그러한 그는 2016년부터 경영학부 학생들을 위해 장학금을 기부하고 있는 든든한 후원자이기도 하다.   유나이티드브랜드 김상률 대표(경영학부 겸임교수)   브랜드 전문가 & 광운대 경영학부 Q 대표님과 광운대학교와의 인연이 궁금합니다. 저는 기업들의 브랜드를 진단하고 전략을 세우며 브랜드를 개발해주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진단을 통해 리브랜딩을 하거나 브랜드 컨셉 구축 및 신규 브랜드 개발과 관련한 일을 해왔습니다. 최근 4년 동안 인천 영종도에 “MADE林(메이드림)”이라는 복합문화공간을 만들고 운영했습니다. 2009년 2학기 첫 브랜드 관리 과목을 맡아 강의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론과 실무를 적절히 접목하여 학생들이 브랜드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실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팀별 리브랜딩 기획서 작성을 통해 좀 더 실무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있습니다. 광운대에서 15년간 강의하며 느낀 점은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부분입니다. 팀별 과제를 진행할 경우 서로 능동적으로 맡은 바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광운인의 강점이 아닐까 싶네요. 학생의 선행 X 기부의 나비효과 Q 경영학부 장학금으로 발전기금을 계속 실천하고 계십니다. 2015년 경영학부의 한 학생이 지하철에서 선행을 한 점을...
kwdongmoon 2025.05.08 추천 0 조회 22
하태준 교수(전자재료공학과) 연구팀, PECVD로 증착된 NO 대체가스 기반의 SiO2 절연막을 갖는 고성능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개발 및 논문 표지 선정   (좌측부터) 석박사 통합과정 박세룡, 석박사 통합과정 김은하, 하태준 교수   모교 하태준 교수(전자재료공학과) 연구팀은 성균관대학교 이준신, 김영훈 교수 연구팀과 함께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으로 증착된 NO 대체가스 기반 SiO2 절연막을 제작하고, post-annealing을 통해 절연막의 절연 특성을 개선하여 고성능의 산화물 반도체 -indium-gallium-zinc oxide (IGZO)-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Royal Society of Chemistry에서 발행하는 응용 물리학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 (IF: 5.7, JIF ranking: 80.7%)에 “Enhanced dielectric properties of alternative NO-gas-based SiO2 films via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for high-performance indium–gallium–zinc oxide thin-film transistors” 제목으로 게재되었으며, outside back cover에 선정되었다.(참조: https://doi.org/10.1039/D5TC00213C) SiO2 박막은 일반적으로 높은 증착 속도와 낮은 공정 온도를 가지며, 결함 형성이 억제된 고품질 박막 제조가 가능한 PECVD 방법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최근 반도체 산업에서는 PECVD 공정에 사용되는 기존 N2O 가스가 지구 온난화를 악화시킬 수 있는 온실가스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에 하태준 교수 (전자재료공학과) 연구팀은 성균관대학교 이준신, 김영훈 교수 연구팀과 함께 PECVD 공정의 대체가스로서 NO를 이용하여 SiO2 박막을 제작하여, 후처리 공정 최적화를 통해 누설전류 및 정전용량 등 SiO2 박막의 절연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최적화된 SiO2 게이트 절연막을 적용하여 고성능의 산화물 반도체...
kwdongmoon 2025.05.08 추천 0 조회 22
  ‘광운대 로봇게임단 로빛(RO:BIT) 네트워크 포럼 2025’ 성료   - 국내 로봇기술을 이끌고 있는 로빛(RO:BIT) 출신 인재들 한자리에 모여 미래 비젼 공유-   - 광운대, 학생 연구개발 전폭 지원 선언…로봇 분야 미래 혁신 예고 -     광운대학교(총장 천장호)는 지난 4월 29일(화) 서울 강남 드림플러스에서 ‘광운대학교 로봇게임단 로빛(RO:BIT) 네트워크 포럼’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로봇산업계 동문과 학계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2026년 로빛 창단 20주년을 앞두고 그간의 성과를 돌아보며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이번 행사는 광운대학교가 향후 학생 연구개발(R&D) 지원을 전폭적으로 확대하고, 로봇 분야를 비롯한 첨단 기술 산업을 선도해나가겠다는 강한 비전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계기가 되었다.     포럼은 환영 만찬을 시작으로 로빛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주제로 한 발표와 토론으로 이어졌으며, 로빛 후원자 기증패널 전달식과 기념 촬영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이뤄진 네트워킹 시간 동안 산업계와 학계 관계자들은 로봇산업과 연구 생태계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활발히 교류했다. 최근 광운대학교는 로빛(RO:BIT)의 연구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학생 중심의 창의적 연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캠퍼스 내에 최첨단 로봇 연구 공간을 새롭게 마련하기로 했다. 향후 조성될 이 공간은 로봇산업계 동문과 교수진,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교육과 실험, 융합연구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로봇 연구 종합 교육 플랫폼’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환영사를 하고 있는 광운대학교 천장호 총장   천장호 총장은 환영사를 통해...
kwdongmoon 2025.05.02 추천 0 조회 24
박철환 교수(화학공학과) 연구팀, “갈조류 기반 고효율 젖산 생산으로 지속가능한 바이오 가치사슬 실현 - 세계적 학술지 Global Change Biology Bioenergy 게재 (JCR JIF Percentile 상위 4.4%) - 발효 저해물질의 영향 규명 및 산 가수분해 전처리 전략 제시 - - 친환경 해조류 바이오 전환 기술을 통한 산업적 활용 가능성 제시 -     모교 박철환 교수(화학공학과) 연구팀이 블루카본(해양생물이나 해양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으로 주목받는 해조류 바이오매스(다시마, Saccharina japonica)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소재인 젖산(lactic acid)으로 전환하는 친환경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을 개발하여 바이오 가치사슬 실현할 수 있는 계기를 제시하였다. 연구팀은 다시마의 희석 산 가수분해를 통해 발효성 당을 회수하고, 이를 미국 식약처(FDA)에서 가장 안전한 등급인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등급을 획득한 유산균 Lacticaseibacillus rhamnosus의 탄소원으로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젖산 생산 공정을 구축하였다. 특히 다시마 산 가수분해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해물질이 L. rhamnosus의 발효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발효 저해물질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수분해 조건(5% 황산)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는 해양 바이오매스의 자원화와 효율적인 유기산 생산 시스템을 결합한 공정 전략을 마련하였다. 해조류는 풍부한 탄수화물을 함유한 해양 유래 바이오매스로서, 바이오리파이너리 원료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다시마는 만니톨 등 발효 가능 당을 다량 포함한 갈조류로, 젖산 생산에 적합한 탄소원으로 주목된다. 연구팀은 S. japonica 가수분해물에 존재하는 acetic acid, formic acid, furfural, 5-HMF 등 발효 저해물질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산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당 회수율과...
kwdongmoon 2025.04.28 추천 0 조회 38